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문화재청, '상주 우복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

기사승인 2018.07.13  14:22:43

공유
default_news_ad2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경상북도 상주시 의서면에 있는 「상주 우복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상주 우복 종택」은 우복(禹伏) 정경세(1563~1633) 선생의 생전에 조성된 초기 건축물들과 사후에 조성된 종택이 조화를 이루며 현재에 이르고 있는 건축군이다.

정경세는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의 대가로 1602년에 초당(훗날 대산루)을 짓고, 1603년에는 별서 기능을 가진 ‘계정(溪亭, 정자의 일종)’인 청간정(聽澗亭)을 지었으며, 나중에 대산루에서 여생을 보냈다. 이준, 전식과 함께 상산삼로(商山三老)로 불리웠다.

이후 정경세의 5대손인 정주원(鄭胄源, 1686~1756)이 조선 21대 왕 영조가 내린 사패지(賜牌地)인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일대에 종택을 지으면서 진주 정씨 종가로서 자리를 잡았다.
 
종택은 우복산과 이안천을 낀 전형적인 배산임수에 자리하고 있으며,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이 튼구(口)자형으로 배치되었다. 이는 환기와 통풍에 유리하며, 북부 지역과는 다른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배치법으로써 자연 조건에 따른 종택의 배치형태라 할 수 있다.

종택 보다 이전에 건립된 계정과 대산루는 별서기능에서 종택의 별당 또는 손님을 맞는 공간으로 기능의 변화를 보여준다. 대산루는 정(丁)자형의 평면 구성으로, 오른편 온돌방 외벽에서 정(丁)자 형태로 연결된 누각의 윗부분까지 연결되는 계단이 설치된 다소 특이한 구조로, 영남지방 반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형태라는 점에서 민속학적 가치가 있다.

또한, 이곳은 조선 22대 왕 정조가 하사한 시문판(詩文板)이 소장되어 있고, 기제사(忌祭祀, 기일에 지내는 제사)와 묘제(墓祭 묘 앞에서 드리는 제사) 등 조선 시대 제례문화가 현재까지 내려오는 등 역사적・학술적・민속적 가치가 조화롭게 잘 전승되고 있다. 비록 정확한 건립연대와 중수 등의 기록은 아직 정확하게 파악하긴 어려우나 건축적・민속적 가치가 뛰어나고, 영남지방의 반가(班家)로서의 독특한 특징이 잘 살아 있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을 예고한「상주 우복 종택」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재로 최종 지정 할 예정이다.

상주 우복종택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지승용 기자 jsr6867@naver.com

<저작권자 © 한韓문화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